코로나 시대, 슬기로운 버거생활

코비드 시대, 재택 근무가 장기화 되면서 집밥이 너무도 자연스럽다. 그래서 그런가 아무리 입맛이 없다 밥맛이 없다 하더라도 삼시 세끼 집밥에 의존하는 나는 이른바 삼식이로서 아침에 밥솥에 밥을 한 가득 해놓아도 하루가 멀다하고 어디론가 사라지게 하는 매직을 매일 같이 시전한다. 아 배 안고픈데 하면서 밥 두 그릇 해치우는 것은 진정 위선이리라.

그렇기에 밥맛이 없어서 외식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왜? 밥맛은 어쨌든 항상 있으니까. 우리가 외식을 할때는 밥이 있는 줄 알았는데 없을 때가 대부분이다. 배가 딱 고프기 시작하려고 함과 동시에 밥솥에 밥이 없음을 발견 했지만 밥 지을 의지와 함께 소요되는 시간을 감내 하기 무척 싫을 때, 열에 아홉은 외식 옵션을 적극 활용한다. 한마디로 집에 먹을 거 없을 때 사먹는다. 중식, 일식, 양식, 한식. 이 곳 실리콘밸리에선 역시 한국과 달리 뭔가 부족한 면이 있지만, 그래도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다.

많이 발전 했다. 하지만 배달 천국 한국에 비하면, 아직 많이 부족하고 부실하다. 출처: doordash.com

이렇게 다양한 외식 종목들이 있지만 좀 더 자극적이면서도 맛있고 쉽게 갈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바로 햄버거라고 생각한다. 사실 우리 동네 차를 타고 길을 가다 보면 길거리에 정말 다양하고 많은 햄버거 가게들이 즐비하다. 이들은 COVID-19 이전에도 드라이브스루, Takeout 등 pick up 시스템이 워낙 잘 갖춰져 있어 이용하기도 편하고 가격도 무난하게 한 끼 하기에 부담이 별로 없다. 어차피 자주 먹지 않으니, 가끔 별미로 괜찮은 외식 메뉴인 것 같다.

아니 이렇게 드라이브스루 천국인 나라가 왜 코로나 드라이브스루 아이디어는 생각 못했니 쯔쯔.
출처: Bloomberg

우리집은 버거를 먹는다면 거의 예외 없이 In-n-out으로 간다. 재료가 신선하고, 다른 곳보다 깨끗하고 덜 느끼하며, 저렴한 가격에 맛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맥도널드와 버거킹도 다 가봤는데, 음 너무 먹고 싶어서 오긴 했는데 막상 먹어보니 당분간은 생각 안나겠다 라는 정도? 하지만 인앤아웃은 물론 집근처에 있다는 큰 장점이 있기도 하지만, 다른 버거들과 달리 큰 기복이 없는 점, 잘 질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메리트가 있는 것 같다.

인앤아웃은 영원한 나의 친구. 이미지 출처: Tripadvisor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면, 미국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맥도널드, 버거킹 말고도 정말 많은 브랜드들이 있다. 당연히, 로컬 레스토랑의 메뉴에 있는 버거는 제외하고서라도, 뭐 당장 내가 애정하는 인앤아웃 뿐만 아니라, 얼마전 한국에 매장 오픈했을 때 소위 난리가 났던 뉴욕 출신 Shake Shack 까지. 보기엔 별로 다를 것 없는 다 같은 버거집이지만, 정말 수많은 버거 브랜드들이 존재하고 있다.

레스토랑 관련 매거진인 QSR에 따르면, 미국에서 매출 상위 50위권 외식 브랜드들 가운데, 버거 브랜드가 14개나 포함되어 있다. 이를 따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엔 내가 아예 알지 못하는 브랜드도 다수 있어, 내가 먹어 봤거나, 가봤거나, 코멘트 할 수 있는 버거들 위주로 간단히 리뷰 해보고자 한다.

맥도날드는 버거로 매출이 40조원이네. 2위권 웬디스와 버거킹보다 4배 이상 격차. 대다나다. 출처: QSR

우선 맥도날드. 일단, 매장 수, 매출 규모 면에서 맥도날드가 다른 모든 브랜드들을 압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햄버거만으로 $38B (한화 약 41조원) 이라니..맥도널드가 미국을 대표하는 버거 회사인 것은 내가 어렸을 때부터 잘 알던 사실이나, 이렇게 다른 회사들과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것에 적잖이 놀랐다.

버거천국의 왕 맥도날드. 출처: Inc.com

근데 사실 맥도날드 매장 분위기는 한국과 미국이 사뭇 다르다. 한국에선 맥도날드 매장이 꽤 깨끗하고, 밝고 명랑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사실 한끼 떼우는 버거 치고는 빅맥 가격도 그다지 싸다고 보긴 어렵고. 하지만 이곳 미국에서는 개인적으로 매장 분위기가 일단 좀 지저분한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맨하탄에 있는 맥도날드에선 노숙자들이 구석마다 죽치고 있었기도 했고, 화장실도 위생 상태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주문해서 나온 빅맥도 대충 만들어서 포장후 트레이에 던져진 느낌적인 느낌이랄까. 그닥 유쾌하고 즐겁게 먹었다기 보다는 얼른 먹고 도망치듯 자리를 떴던 기억이 강렬하다. 최근 이렇게 오랫동안 형성된 “싼마이” 이미지를 벗기위해 매장도 그럴듯하게 리노베이션하고, 오가닉 채소와 고기를 쓰는 프리미엄 버거도 출시하여 낡고 오래된듯한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정작 중요한 음식은 별로 나아진게 없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

로고는 그대로인데, 검은색 바탕으로 바꾸면서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고 한다.
이미지 출처: Matthew Cooney’s Year 1 Graphic Journal

다음. 버거킹. 서울에 있을 때 가장 좋아했던 와퍼. 하지만, 미국 버거킹은 도대체 어떻게 만들기에 이렇게 맛이 없나 싶을 정도다. 와퍼 기준으로, 버거를 다 만들고 프레스로 누르는 건지 일단 너무 납작하다. 심지어 들어갈 재료가 다 들어가긴 한 것인지 의심스러울 정도. 둘째, 겁나 짜고 퍽퍽하다. 콜라 강제 소환.

역시 광고는 광고일 뿐. 근데 내가 먹었던 와퍼도 저 실제 버거 샷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출처: Reddit

나는 너겟을 같이 시키는 편인데, 먹을 때마다 정체불명의 식감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예전 도시괴담으로 떠돌던 비둘기 머리고기가 생각난다.

하루가 멀다하고 promo를 하기 때문에, 제값 주고 먹으면 괜히 억울하다. 근데 막상 사먹으면 맛없어서 더 억울하다. 출처: Today.com

예전 Kellogg 에서 MBA할 때, 기숙사 맞은 편에 버거킹이 있었더랬다. 정말 귀찮거나 급해서 몇번 갔는데, 갈 때마다 뭔가 탈이 났었던 기억이 있다.

바로 이곳이 내 기숙사 맞은편에 있던 그 버거킹. 우리는 이 곳을 BK Lounge라고 불렀다. 무시무시한 곳이다. 출처: Dailynorthwestern

잭인더박스. 난 여기가 매출이 $3.5B, 한화로 4조원 가까이 되는 것에 굉장히 놀랐다. 그냥 뉴욕에서 실리콘밸리로 이사 온 이후로 길거리에 엄청 보이길래 이 동네 버거집인가보다 했는데, 대기업이었다 어허헣. 샌디에고가 본사고, 1951년에 설립되었다 하니, 거의 70년이나 된 뼈대있는 기업인 것이다. 난 이 버거를 LA에 출장 가서 먹었는데, 버거 자체는 색다른 점이 없었던 걸로 기억한다. 타코를 같이 파는 점이 좀 특이했고, 그래서 그런지 남미 분들이 좀 많았다. 양이 전반적으로 많았고, 콜라를 정말 큰 컵에 줬던 것 같다.

주차장이 뭔가 항상 한산~ 하다. 그냥 그렇다고. 출처: bing.com

FIVE GUYS. 내가 미국으로 처음 정착했던 곳은 와이프 학교가 있던 피츠버그였다. 여기서 버거가 땡겨 뭔가 새로운 버거를 먹고 싶어 갔던 기억이 난다. 일단, 일반적인 버거가게와 달리, 주문이 엄청 세분화 되어 있어서 버거하나 시킬라면 점원과 스무고개 하듯이 계속 문답이 오가야만 한다.

점원이 머라뭐라 하면 그냥 Everything 하면 만사오케이. 출처: mrhonner.com

약간 서브웨이 주문할 때 빵 종류부터 고르는 것과 비슷하다. 크게 핫도그, 버거, 샌드위치 이렇게 세그먼트 되어 있고, 올라가는 고기에 따라 버거 종류가 달라진다. 가장 문답이 오래 오고 가는게 이 프리토핑인데, 아 이거 요령을 잘 숙지하고 가야지 안그러면 최악의 경우 베이컨 버거에 빵 베이컨 위에 마요네즈만 발라서 나오는 참극을 경험할 수 있다. 토핑을 고를 수 있어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미국 사람들은 정말 다양하게 자기가 먹을 걸 아예 새로 설계하듯 주문하는 사람도 많다. 내가 점원이라면 살짝 빡칠 정도지만, 뭐..대체로 다 잘 받아준다. 가격대는 상대적으로 좀 비싸지만, 고기패티와 야채가 신선하고, 전반적으로 맛 좋음.

감자튀김이 다른 곳 대비 살짝 다르다. 뭔가…더 쭐깃쭐깃하면서도 촉촉하다. 겉쭐속촉인가.
출처: mashed.com

Shake Shack. 셱셱 맛있다. 힙스럽다. 아 뉴욕 뉴욕. MBA 졸업 후에 뉴욕 맨하탄에 있을 때 참 자주 많이 갔었다. 뭔가 버거같지 않고 요리 같다는 느낌 들 정도로 조화가 적절하게 잘 되어, 초반엔 버거 하나 먹으면 살짝 아쉬울 정도. 그래서 버거 사이즈 업하고 셰이크까지 시키면 1인당 20불가까이 나오기도 해, 사실 다른 버거 가게에 비해서는 굉장히 비싼편에 속한다.

요게 딱 기본, 햄버거, 감튀, 셰이크인데 세금까지 하면…20불.. 이쯤되면 요리네 요리야. 출처: eater.com

버거 맛은 좋다. 뭐랄까 맛이 강한 편이랄까, 느끼함도 강, 짠맛 단맛, 야채, 고기 풍미도 강. 그래서 강대강의 조합으로 서로 묘하게 조화를 이루며 어울리는 맛이지만, 아무래도 이거 먹으면 이후 간이 세서 그런지 나 개인적으론 몇시간은 물 생각이 자꾸 난다. 특히, 저 커스터드 셰이크는 뻑뻑하고 엄청 달아서, 혀가 꼬이면서 급격한 당 충전으로 인해 정신이 번쩍 날 지경이다.

당떨어지면 이거 직빵이다. 출처: Delish.com

항상 엄청 긴 줄을 상대 해야 하고, 매장안에서 먹는다면, 처음 보는 사람과도 정말 절친처럼 다닥다닥 붙어 앉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님은 항상 많다. 회사 부근이라 개인적으론 그랜드 센트럴 역 지점을 많이 갔는데, 거긴 푸드코트라 주변에 편히 앉을 곳이 많아서 자주 갔던 것 같다. 자주 먹어서 어느 샌가 느끼함에 잘 안가게 되었지만, 지금 서부에 와서는 정말 땡기는 것중에 하나다.

그랜드 센트럴 역 지하에 있는 셱셱 매장. 그나마 줄을 좀 덜 서는데라 선호함. 출처: timeout.com

White Castle 화이트캐슬. 딱 한번 가봤다. 시카고에 있을 때. 전반적인 매장 외형도 캐슬, 성을 표방하여 유치한 성곽 모양 건물 외벽이 눈길을 끈다. 전반적으로 올드하고 촌스러운 느낌이 들고, 프리미엄 버거이기보다는 정말 싸게 한끼 떼우는 용도로 오는 구나 하는 인상을 빡 받았다. 아니 그렇게 후진 버거집 연간 매출이 6천억원에 가깝다니…그리고 심지어 버거 쪽에서 제일 힙스럽고 잘나가는 셰익셱보다 많다니.. 정말 놀라웠다.

아 정말이지. 신이시여 정령 얘네가 1년 매출이 6천억원이나 하는게 실화입니까. 출처: thedailymeal.com

사실 이건 버거라고 하기 어렵고 약간 slider라고 해야하나, 작은 모닝롤 같은 빵 사이에 일반 버거 패티의 1/3 수준의 미니버거를 몇 개 시키고, 여기서 감자튀김이나 셰이크 등 같이 때려먹는 거다. 가격이 싸서 배터지게 먹어도 얼마 안나온다.

딱봐도, 어우야. 참을 수 없는 저질이 느껴진다. 출처: verdictfoodservice.com

사실 화이트캐슬은, 존 조가 주인공으로 나와 대 히트를 쳤던 B급 코믹 로드무비 해롤드와 쿠마의 최종 목적지이다.

정말 기대 안하고 봤는데, 꽤 재밌었다. 정말 아무 생각 없이 의식의 흐름 따라 영화가 진행된다. 병맛이 일관성 있게 구성을 가지고 전개되니 그게 재밌다. 출처: vhscollector.com

사실 이 배우들이 영화에서 너무 맛있게 먹기에 함 가보자 했던 건데, 역시 영화는 영화일 뿐 오해하지 말도록 하자.

난 이거 1/10도 못먹고 바로 현타 왔는데, 얘네들은 정말 먹고 싶었나보다. 출처: Ebay.com

Advertisement

Takeout food: 맛좋음, 포장은 안좋음

미국에 온 지 근 1년이 되어 간다. 처음 여기 와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게 말처럼 쉽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와이프랑 합심해서 꽤 많은 부분에서 새로운 문물과 생존 환경을 받아들이고 나름 성공적으로 낯선 이곳 미국에 정착했다. 하지만, 나에겐 아직도 적응도 안되고 이해도 안되는 그런 낯선 문화가 하나 있다. 바로 Takeout food이다.

KakaoTalk_Photo_2016-03-01-13-35-44_82

이게 오늘 나의 점심 ㅋㅋ 방금 포장해 나온 건데 쓰레기봉지 비주얼 ㅠㅠ

처음와서 이게 대체 뭔가 했다. 커다란 일회용 bowl에 밥, 채소, 고기, 소스 다 때려넣고 (이를테면 짬뽕 짜장을 한그릇에 넣는 것과 비슷하다) 뒤범벅된 음식을 뚜껑에 닫아 준다. 머.. 옛날 중학생때 뷔페 가서 접시에 이 음식 저 음식 잡탕으로 퍼서 먹었던 비주얼과 비슷하다고 할까. 음식이야 뭐.. 맛만 좋으면 되지 허허허 크게 개의치 않았지만, 문제는 테이크아웃 포장이었다.  그냥 위의 그림처럼 비닐봉지에 넣거나 아니면 그냥 bowl 째로 준다. 어떤 종류의 음식이든 포장을 한다면 거의 이런 허접함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IMG_7035

먹다 남은거 아니고 이제 개시할 거임.. ㅠㅠ 메뉴는 치킨카레 & 카라아게

뭐 미학적으로 선물포장 마냥 예쁘고 정갈할 필요는 없더라도 이건 좀 허접의 도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었다. 포장이 날림인지라 일단 국물이 쏟아질 개연성이 매우 크고, 날씨라도 추우면 정말 급속도로 식는다. 그걸 막으려고 사람들은 그릇을 아예 손으로 잡아 들고 가는데, 음식을 또 엄청 많이 주기 때문에 생각보다 무거워서 손목에 들어가는 힘이 심히 고단하다. 게다가 스마트폰까지 쓸려고 한다면 머 한마디로 위태로운 자세가 된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런 허접한 도시락이 굉장히 흔하고 일상적이다. 점심시간이 되면 수많은 학생들이 손에 위의 그림과 상당히 비슷한, 일회용 용기안에 포장된 음식과 음료수를 사들고 다닌다. 보기에 참 허접할 뿐만 아니라 바닥에 엎거나 쏟기 딱 알맞은 허술한 포장 이지만, 사람들은 크게 개의치 않는 것 같다. 아니, 그냥 별로 신경을 안쓰는 것 같다.

KakaoTalk_Photo_2016-03-01-13-35-42_45

왼쪽 조교가 전형적인 점심 takeout look을 보여주고 있음 좌빵우물 ㅋㅋ

다운타운에 나가도 상황은 비슷하다. Chipotle 같은 멕시코 음식 – 여기도 그냥 일회용 takeout container 안에 다 때려넣는 방식 – 을 파는 곳에 수십명이 줄을 서 점심 포장을 해간다. 물론 테이블도 많고 몇몇은 거기 앉아서 식사를 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매우 허술하고 위태롭기까지한 얇은 종이 봉투에 takeout을 해갔다. 아마 대부분 사무실이나 자기 일터에서 가볍게 점심을 해결하거나 아니면 먹으면서 일을 하는 행태가 일반적이라 포장해가는 경우가 일반적인 것 같다.

o-3

Chipotle takeout 하면 이렇게 줌. 이미 잔반 비주얼. 맛은 있음 ㅋ 출처: yelp.com

사실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대학 다닐때나 졸업 후에 회사를 다닌 긴 기간 동안 점심 시간에는 뭔가 도시락을 싸거나 포장을 해서 점심을 해결하기 보다는 어디 작은 식당이라도 들어가서 먹었던 것 같다. 들고다니기도 불편하고, 미관상 별로 좋지도 않고, 냄새도 나고, 식으면 맛도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여기 와서 점심에 이렇게 takeout 수요가 많은 문화에 굉장히 놀랐고 – 오히려 식당 테이블은 한산했음 – 또 포장이 굉장히 허술한대도 내놓고 불평하거나 아쉬운 소리를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에 아 쿨하네 대인배네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머 아직도 쉽게 잘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 ㅋㅋ

o-2

자리에 앉아서 먹으면 루저. 출처: yelp.com

개인적으로 음식은 맛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렇게 takeout을 일상화 되어 있는 환경에서 음식의 퀄리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휴대성도 살릴 수 있는 포장이 정말 절실해 보인다. 마침 요즘 여기 미국에선 “음식 배달” 이 천지개벽할 컨셉으로 요즘 핫한 기업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서 발로 뛰고 있는데, 다들 과거 한국 피자집, 중국집, 치킨집이 그러했듯 fast delivery, 즉 speed 를 생명으로 여기고 있다.

oo9q5seil9vzjrzuqjdj

요즘 동부에서 핫하다는 Ubereats. Uber taxi에서 사업 확장 중. 출처:Ubereats.com

물론 직관적으로 생각하면 치킨집에서 내 사무실로 전화나 모바일로 배달을 시키는게 내가 치킨집에 직접 줄을 서서 양념반 후라이드반 takeout 해서 낑낑대고 들고 오는 것보다 편의성 차원에서는 훨씬 간편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은 delivery fee 및 tip이 음식값과는 별도로 엄연히 존재하고, 시간도 꽤 늦다. 최근에 동부 대도시부터 사업을 시작한 Ubereats (Uber restaurant food delivery service) 가 퀄리티 유지는 빠른 배달!! 을 부르짖어 각광받고 있지만, 아직 다른 대부분의 food delivery들은 1시간 내외의 배달 시간을 감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뭐.. 오면 그래도 다행이랄까. 배달 사고라도 나는 경우 금쪽같은 점심시간을 날릴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음을 감안할때,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소비자 자신들을 위한 takeout order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요즘 그래서 food container industry에 관심이 많다. 사실 포장용기는 한번 쓰고 버려지는 임시적 용도로 인식하고 있어서 크게 신경을 안쓴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 음식의 퀄리티를 유지하면서 휴대성까지 편리하게 갖출 수 있는 포장용기를 만들 수 있다면 (물론 그릇값이 음식값보다 비싸면 큰일나겠지)사람들의 그 불편하고 어정쩡한 손을 좀 더 자유롭게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