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마이크로소프트는 기발한 실험을 한 적이 있다. Project Natick이라고 명명된, 데이터센터를 통째로 바다에 집어넣고 해저에서 운영을 하는 실험이 바로 그것이다. 더 놀라웠던 건, 이것이 “두번째” 실험이라는 것이다. 나는 현재도 활동하고 있는 IT 소식지인 Techneedle를 통해 이와 관련된 내용을 전달 했던 바 있다.
최근 뉴스를 통해 차가운 해저에서 실험 운영하던 그 데이터센터를 바다에 집어넣은 지 2년 만에 실험을 마치고 마침내 다시 건져올렸다는 소식을 들었다. 내가 설치한 것도 아닌데, 예전에 관련 내용을 다뤘던 입장에서 꾀죄죄한 서버 탱크를 다시 보니 괜시리 반가웠다. 더불어 해저에서 2년 넘게 있었던 것치고는 생각보다 겉표면에 해조류나 바다 생물 붙어 있는 것이 덜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의 신뢰도는 육지보다 해저에서 약 8배 정도 더 높다고 밝혔다. 육상 데이터 센터의 대기 환경과 달리, 해저 데이터 센터는 서버가 들어가는 chamber 안에 건성 질소를 주입한다. 이것이 장비와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부식의 속도를 늦추고 좀 더 나은 컴퓨터의 작동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미지 출처: Dailymail.co.uk
뿐만 아니라, 바닷속의 온도는 낮고 일정하며 에너지레벨도 안정적이다. 따라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육상 데이터 센터에서 소비하는 막대한 쿨링 비용이 절감되면서도 “바다”라는 자연 그대로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친환경적 컨셉까지 갖추었다. 아직 단점이나 보완해야 할 숙제들이 많지만, 전반적으로 꽤 매력적인 장점을 갖고 있는 것 같다.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2022년 약 4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된다. 클라우드 글로벌 3대장 (AWS, GCP, MS Azure) 모두 굉장한 매출 성장이 예상되지만, 그와 동시에 데이터 센터 확충 수요도 만만치 않을 것 같다. 그래서 각 사 모두 데이터 센터를 어디에 어떻게 지을지에 대해 연구와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출처: CBInsights
그 연구와 고민의 핵심은 결국 비용이다. 부지 선정부터 유지 비용까지 많게는 몇천억씩 들어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단, 평균 기온이나 지질이 기준을 만족해야 함은 물론, 지진이나 각종 천재지변으로부터 자유로운 곳이 선호될 것이다. 그리고 안정적인 전력 수급이 담보될 수 있는 곳이거나, 혹은 인프라 자체를 구축해야 할 수도 있다. 육상 데이터 센터의 입지 선정은 갈수록 까다로워지고 있다.
이에, 지금이야 해저에 작은 서버 탱크로 시작한 실험이지만, 몇년 뒤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이터센터는 앞으로 해저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