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만렙, 온라인 컨퍼런스

예전 자산운용사나 헤지펀드에 있었을 땐, 주식 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을 주로 봐왔다. 상장된 회사들은 회사의 주요 정보를 외부에 공개해야 하므로,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상장 기업들의 주요 재무 정보나 뉴스 등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미국 증권거래소 사이트. 회사 이름이나 Stock Ticker를 입력하면 상장 회사의 각종 공시, 재무정보를 열람 할 수 있다. 공부해서 남 주자. 출처: SEC.gov

하지만, 벤처투자는 전혀 다르다. 대부분의 스타트업들은 창업된 지 불과 몇 년 정도 밖에 안된 신생업체로, 매출도 제대로 없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 “상장”이라는 거창한 단어와는 거리가 멀다. 이들은 회사 주요 정보를 공개할 의무도 없다.

아주 식상하게 비유하자면, 일단 상장 업체들은 마치 티파니 같은 금은방(!)에서 볼 수 있는 등급과 세부 정보가 잘 매겨진 다이아반지들과 같다고 보면 된다. 즉, 디자인과 등급 등 이미 주어진 세부 스펙과 정보를 잘 살펴보고 잘 고르기만 하면 장땡이다.

이에 비해 벤처기업들은 일단 뭔가 시커멓고 거칠며 투박한 탄소 돌덩어리를 고르는 것과 같다. 물론 열에 아홉은 이게 다이아몬드인줄 알고 열심히 물주고 키우다가, 엇,, 이 산이 아닌개벼/에이씨, 걍 돌이네 그리고 이내 내다 버린다. 그리고 또 옆에 돌을 들고 아 이건가봐 한다.

어쨌든, 벤처 투자는 이런 다이아몬드 원석에 투자하는 것과 다름 없어서, 산으로 들로 돈싸들고 찾아다녀야 한다. 물론, 유명한 맛집에 사람들이 몰리듯, Top Tier VC에는 제가 다이아몬드 원석을 캤어염 함 봐주시고 사주세요 하는 많은 창업자들이 몰리긴 하지만, 여전히 대박 기회는 필드에 있기 때문에, 열심히 파밍을 해야하는 상황이다.

Top Tier VC firm들. 이런데 파트너 되보고 싶고, 또 이런데서 투자도 받아보고 싶네. 출처: Pitchbook

이게 말이 쉽지, 아무리 통신 인터넷 환경이 발달 했다고 해도 투자자나 창업자 모두 아직도 누가 어디서 뭘하는지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러한 투자자들과 창업자들을 서로 이어주기 위해 수천 수만의 각종 산업 컨퍼런스와 포럼 등이 매년 이 곳 미국에서 열리고 있다.

다들 한 돗자리에 모여 앉게 해서 네트워킹을 통해 관심사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행사의 규모나 참여자들의 면면에 따라 수준은 천차만별이다. 그 중 CES나 MWC 등 대기업도 참여하는 우주대마왕급 컨퍼런스도 있고, 스타트업 중심으로는 SXSW, Startup Grind, TC Disrupt, Money20/20, CbInsights Future of Healthcare 등 매우 유명한 컨퍼런스는 비싼 참가비가 아깝지 않을 정도로 굉장히 다양하고 많은 참가 회사들과 더불어 수준 높은 프로그램 등을 자랑한다.

그립다 CES..가 아니라 라스베가스. 와 근데 사람이 정말 득실득실. 요즘 같은 시대엔 상상도 못할 광경이네. 출처: salesflare.com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매우 다르다. 코로나 여파로 극장도 닫는 마당에, 이런 대규모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상황이 전혀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많은 행사들이 실제로 취소되었고, 연기되었다. 하지만 몇몇 컨퍼런스의 경우엔 코로나 상황에 맞게 100% 온라인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행사 구조를 아예 변경하기도 했다. 상황이 엄중하니, 이렇게라도 서로 소통하는 장을 만들려는 노력이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TC Disrupt 2020 행사는 100% 온라인 베이스로 진행. 코난쇼 진행자 코난 오브라이언이 키노트 스피커로 참여했다. 출처: techcrunch.com

나도 초반엔 굉장히 의욕적으로 이러한 virtual conference에 참여했다. 출장을 굳이 며칠씩 가지 않더라도 내 집에서 편하게 많은 창업자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하루 온종일 가만히 앉아서 랩탑 쳐다보고 온라인으로 사람 만나 미팅하는 일도 참 할 짓이 못된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요즘 Zoom Fatigue라는 말도 새로이 생겨난 것 같기도 하다.

정전되고 인터넷도 끊어지면 좀 자유로워지게 될까. 앗 그럼 유투브랑 예능은? ㅎ 출처: Bostondigital.com

1:1 미팅은 별 문제 없지만, 내가 컨트롤 하기 어려운 컨퍼런스나 대단위 미팅에서 나의 집중력은 금세 산으로 가버리고 만다. 왜? 일단 다들 개인 랩탑을 기반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 카메라, 마이크 등 기술적 문제가 꼭 발생한다. (내 말 들려요? 잘 들려요? 안 들려요? 이것은 보청기 광고인가.)

어찌저찌 미팅 시작. 줄잡아 수십명이 동시 접속한 미팅. 전세계 각양 각색의 사람들이다. 반갑습니다만, 그중 참으로 특이한 유형의 창업자들 혹은 투자자들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함께 참여한 미팅 세션에 들어와서 주제와 상관없는 온갖 해괴한 종류의 코멘트들, 이를테면,

하나마나한 소리: 코로나 바이러스는 해결 되어야 합니다. (1+1=2 입니다와 뭐가 달라)

노래방 마이크도 아닌데 장시간 붙잡고 아무도 의도를 알아들을 수 없는 질문 남발 (막상 답하면 듣지도 않음)

갑분싸 유발하는, 싸가지없음이 함유된 공격적 언행 (샤크탱크인 줄)

정말,, 그만 끄고 싶다는 생각이 굴뚝같다.   

마지막으로, 언제든 알트 탭만 누르면 바로 열려 있는 딴짓의 유혹은 그렇게 새콤 달콤할 수가 없다. 갑자기 새로울 것 없는 아마존에 괜히 한번 들어가보고, 괜히 또 한번 핫템 검색을 한다. 유투브 들어간다. 어제 우리 흥민이가, 현진이가, 광현이가 잘 했나 봐주러 간다.

TMI: 여러분 이제 곧 아마존 프라임 데이 입니다. 득템하세요. 출처: amazon.com

하지만 그 무엇보다도, 행사에 직접 참여하는 게 아니기에 아무래도 현장 분위기나 참여자들의 다양하고 폭넓은 리액션, 반응 등을 실시간으로 느낄 수 없다는 점이 가장 아쉽다.

시장에 존재 하는 수많은 스타트업들을 일일이 쫓고 찾아다니기는 솔직히 어렵다. 그래서 이렇게 돗자리 깔아주고 서로 그 안에 모이게 하는 컨퍼런스가 굉장히 유용했는데, 이놈의 코로나가 이것조차 온라인 비대면 환경으로 만들어 버렸다. 여러 모로 괴롭고 피곤하다. 다시 만나 악수하고 서로 침 튀겨가며 웃고 싸우며 마주 보고 대화할 날을 기다려본다.

Advertisement

MBA 과정을 시작하다

얼마전에 미국 시카고에 위치한 Northwestern 대학의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에서 첫 학기를 시작했다. 사실 잘 다니던 직장을 놓고 미국에 온 가장 큰 이유가 나의 career를 바꿔보고 싶어서 였는데, 그걸 가장 구체적으로 도와줄만한 건 MBA밖에 없다는 판단에 혹독한(!) 준비 끝에 입학하게 되었다.

IMG_7154

첫날 지급받은 명찰, 이름판, 학생증. 솔직히 이름판은 굳이 없어도 될듯.. 뭔가 과하다.

준비과정은 정말 힘들었다. 밑빠진 독에 물붓는 것과 같은 헛짓의 반복이 아닐까 하루에도 몇번씩 좌절과 실망이 교차하는 시험공부도 그랬지만, 무엇보다 고생스러웠던 건 그다지 깊게 고민하고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아왔던 나 자신에 대해서 굉장히 자세하게 서술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뭔가 짜임새 있고 일관성 있으면서 나에 대한 자랑을 담담하고 아니꼽지 않게 겸손하게 풀어내야 하는, 한마디로 종합예술이었다. 유학 준비를 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거쳐야하는 통과의례이지만, 개인적으로는 그 무엇보다 고된 일이었고, 절대로 다시 하고 싶지 않은 일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나도 이제 첫학기를 시작한터라 앞으로 익히고 배워갈 일이 많겠지만, 지금까지의 인상은 내 기대 이상으로 학교가 학생들의 career development에 사활을 걸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수업 일정도 그렇지만, 굉장히 다양한 분야를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게 계속 이벤트를 만들고 알려준다. 아마 다른 경영대학원들도 마찬가지겠지만, MBA는 다른 graduate school과 달리 거대한 취업양성소 같다는 느낌이다. ㅋㅋ 하지만 학교는 딱 상을 잘 차려주는 것 까지만 한다. 따라서 입에 직접 떠먹는 건 본인 몫이고, 그걸 게을리 하면 제 밥그릇 못찾아먹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IMG_3551

MBA 동기들. 자기 얘기하느라 정신이 없다. 출처:Kellogg MBA

첫수업때 동기 친구들에게 졸업하고 뭐할건지 물었더니 지금 회사 boss자리가 탐난다는 사람부터 아예 새로운 industry에 가고 싶다는 사람까지 매우 다양했다. 그런데 좀 놀라웠던건 거의 대부분 그런 목표가 굉장히 구체적이었다는 점이다. 맞는 얘기다. 자기가 뭘 하고 싶은지 정리가 되야 그에 맞는 준비를 통해 훨씬 더 효과적으로 본인을 강화할 수 있으니까. 생각보다 2년이란 시간은 짧을지도 모른다. MBA준비할 때 다른 블로그에서 본 글이 생각난다. 본인이 왜 MBA가 필요한가에 대해 고민이 필요하다고. 진짜 그말이 맞는 것 같다. 그런 치열한 고민 없이 여기 오면 뭔가 되겠지 아 그냥 지금 회사 겁나 다니기 싫다 도피처로 생각해서 오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 여기도 스트레스 많고 치열하다. 정글같다.

IMG_6967

앞으로 2년동안 들락날락 할 건물. 잘해봅시다!

한국에 있을 때 난 Asset Management Firm에서 Fund Manager 로 일했었다. Equity Investment 를 주로 했어서 업무 자체는 정말 재밌고 다이내믹했다. 투자 대상 상장사들의 방대한 회계자료와 분석, 뿐만 아니라 현지 상황 파악을 위해서 출장도 많았다. 하지만 어느샌가 일이 참 많아서 사람들끼리 분업을 하더라도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 놓치는 기회들이 참 많음을 느끼고 이걸 어떻게 보완할 수 없을까 고민을 많이 했었다.

난 MBA에서 이런 내 고민에 대한 해답을 찾고 싶다. 다른 industry와 처럼, 오히려 더욱 방대한 Data들이 Financial Market에서 발생되고 그것이 때로는 Investable Idea로 인식되거나, 때로는 Noise로, 혹은 그냥 Rubbish로 버려진다. 아예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이미 사람이 감당할 수 있는 영역 너머로 데이터가 발생하는데 실제 아직 Equity Investment 분야에서는 이에 대한 분석이나 관련된 내용들이 아직 많이 발달하지 못한 것 같다. 그래서 이 분야에 대해 좀더 깊이 공부해보고 네트워크를 쌓아서 비지니스 기회를 찾아보고 싶다.

 

 

 

Takeout food: 맛좋음, 포장은 안좋음

미국에 온 지 근 1년이 되어 간다. 처음 여기 와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게 말처럼 쉽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와이프랑 합심해서 꽤 많은 부분에서 새로운 문물과 생존 환경을 받아들이고 나름 성공적으로 낯선 이곳 미국에 정착했다. 하지만, 나에겐 아직도 적응도 안되고 이해도 안되는 그런 낯선 문화가 하나 있다. 바로 Takeout food이다.

KakaoTalk_Photo_2016-03-01-13-35-44_82

이게 오늘 나의 점심 ㅋㅋ 방금 포장해 나온 건데 쓰레기봉지 비주얼 ㅠㅠ

처음와서 이게 대체 뭔가 했다. 커다란 일회용 bowl에 밥, 채소, 고기, 소스 다 때려넣고 (이를테면 짬뽕 짜장을 한그릇에 넣는 것과 비슷하다) 뒤범벅된 음식을 뚜껑에 닫아 준다. 머.. 옛날 중학생때 뷔페 가서 접시에 이 음식 저 음식 잡탕으로 퍼서 먹었던 비주얼과 비슷하다고 할까. 음식이야 뭐.. 맛만 좋으면 되지 허허허 크게 개의치 않았지만, 문제는 테이크아웃 포장이었다.  그냥 위의 그림처럼 비닐봉지에 넣거나 아니면 그냥 bowl 째로 준다. 어떤 종류의 음식이든 포장을 한다면 거의 이런 허접함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IMG_7035

먹다 남은거 아니고 이제 개시할 거임.. ㅠㅠ 메뉴는 치킨카레 & 카라아게

뭐 미학적으로 선물포장 마냥 예쁘고 정갈할 필요는 없더라도 이건 좀 허접의 도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었다. 포장이 날림인지라 일단 국물이 쏟아질 개연성이 매우 크고, 날씨라도 추우면 정말 급속도로 식는다. 그걸 막으려고 사람들은 그릇을 아예 손으로 잡아 들고 가는데, 음식을 또 엄청 많이 주기 때문에 생각보다 무거워서 손목에 들어가는 힘이 심히 고단하다. 게다가 스마트폰까지 쓸려고 한다면 머 한마디로 위태로운 자세가 된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런 허접한 도시락이 굉장히 흔하고 일상적이다. 점심시간이 되면 수많은 학생들이 손에 위의 그림과 상당히 비슷한, 일회용 용기안에 포장된 음식과 음료수를 사들고 다닌다. 보기에 참 허접할 뿐만 아니라 바닥에 엎거나 쏟기 딱 알맞은 허술한 포장 이지만, 사람들은 크게 개의치 않는 것 같다. 아니, 그냥 별로 신경을 안쓰는 것 같다.

KakaoTalk_Photo_2016-03-01-13-35-42_45

왼쪽 조교가 전형적인 점심 takeout look을 보여주고 있음 좌빵우물 ㅋㅋ

다운타운에 나가도 상황은 비슷하다. Chipotle 같은 멕시코 음식 – 여기도 그냥 일회용 takeout container 안에 다 때려넣는 방식 – 을 파는 곳에 수십명이 줄을 서 점심 포장을 해간다. 물론 테이블도 많고 몇몇은 거기 앉아서 식사를 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매우 허술하고 위태롭기까지한 얇은 종이 봉투에 takeout을 해갔다. 아마 대부분 사무실이나 자기 일터에서 가볍게 점심을 해결하거나 아니면 먹으면서 일을 하는 행태가 일반적이라 포장해가는 경우가 일반적인 것 같다.

o-3

Chipotle takeout 하면 이렇게 줌. 이미 잔반 비주얼. 맛은 있음 ㅋ 출처: yelp.com

사실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대학 다닐때나 졸업 후에 회사를 다닌 긴 기간 동안 점심 시간에는 뭔가 도시락을 싸거나 포장을 해서 점심을 해결하기 보다는 어디 작은 식당이라도 들어가서 먹었던 것 같다. 들고다니기도 불편하고, 미관상 별로 좋지도 않고, 냄새도 나고, 식으면 맛도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여기 와서 점심에 이렇게 takeout 수요가 많은 문화에 굉장히 놀랐고 – 오히려 식당 테이블은 한산했음 – 또 포장이 굉장히 허술한대도 내놓고 불평하거나 아쉬운 소리를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에 아 쿨하네 대인배네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머 아직도 쉽게 잘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 ㅋㅋ

o-2

자리에 앉아서 먹으면 루저. 출처: yelp.com

개인적으로 음식은 맛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렇게 takeout을 일상화 되어 있는 환경에서 음식의 퀄리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휴대성도 살릴 수 있는 포장이 정말 절실해 보인다. 마침 요즘 여기 미국에선 “음식 배달” 이 천지개벽할 컨셉으로 요즘 핫한 기업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서 발로 뛰고 있는데, 다들 과거 한국 피자집, 중국집, 치킨집이 그러했듯 fast delivery, 즉 speed 를 생명으로 여기고 있다.

oo9q5seil9vzjrzuqjdj

요즘 동부에서 핫하다는 Ubereats. Uber taxi에서 사업 확장 중. 출처:Ubereats.com

물론 직관적으로 생각하면 치킨집에서 내 사무실로 전화나 모바일로 배달을 시키는게 내가 치킨집에 직접 줄을 서서 양념반 후라이드반 takeout 해서 낑낑대고 들고 오는 것보다 편의성 차원에서는 훨씬 간편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은 delivery fee 및 tip이 음식값과는 별도로 엄연히 존재하고, 시간도 꽤 늦다. 최근에 동부 대도시부터 사업을 시작한 Ubereats (Uber restaurant food delivery service) 가 퀄리티 유지는 빠른 배달!! 을 부르짖어 각광받고 있지만, 아직 다른 대부분의 food delivery들은 1시간 내외의 배달 시간을 감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뭐.. 오면 그래도 다행이랄까. 배달 사고라도 나는 경우 금쪽같은 점심시간을 날릴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음을 감안할때,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소비자 자신들을 위한 takeout order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요즘 그래서 food container industry에 관심이 많다. 사실 포장용기는 한번 쓰고 버려지는 임시적 용도로 인식하고 있어서 크게 신경을 안쓴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 음식의 퀄리티를 유지하면서 휴대성까지 편리하게 갖출 수 있는 포장용기를 만들 수 있다면 (물론 그릇값이 음식값보다 비싸면 큰일나겠지)사람들의 그 불편하고 어정쩡한 손을 좀 더 자유롭게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